계명대 대구동산병원의 코로나19 전담병원 운영 및 감염관리 활동을 상세하게 담은 논문 ‘대한민국 코로나19 병원에서 얻은 교훈(Lessons from a COVID-19 hospital, Republic of Korea)’이 WHO(세계보건기구)가 발간하는 온라인 저널 ‘Bulletin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2020년 12월호를 통해 발표됐다.
조치흠 계명대 동산병원장팀(공동1저자 : 감염내과 이지연 교수, 글로벌케어 김민진 연구원)은 전담병원 운영체계 확립 및 자원 활용, 진료팀 구성 및 의료인력 활용, 환자치료 및 배치 등 전담병원 시작부터 운영에 대한 모든 것을 이번 논문에 담았다.
0... 조치흠 동산병원장은 대구지역에 코로나19가 대규모로 유행했을 당시 계명대 동산의료원 산하 3개 병원 중 하나인 대구동산병원이 2020년 2월 21일 코로나19 전담병원으로 지정되자, 비상대책본부장을 맡아 하루 만에 병원 건물 전체를 코로나19 환자를 위한 진료공간으로 빠르게 변경하고 전체 운영을 진두지휘해왔다.
대구동산병원은 코로나19 환자 치료를 위해 병원건물 전체를 코호트 건물로 지정한 국내 첫 번째 사례였다. 6월 29일까지 4개월여 동안 총 906명의 의료진(동산의료원 소속 402명, 파견지원 504명)이 투입돼 1048명의 코로나19 환자를 치료했다.
조치흠 동산병원장은 이번 논문의 의의에 대해 “국가 간 대응방안 경험을 공유함으로써 감염병 대처방안을 개선시킬 수 있다”며 “2020년 봄 대한민국 코로나19 전담병원의 경험이 비슷한 상황을 겪고 있는 다른 나라에 유용하게 활용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논문에서는 세 가지 조치가 코로나19 발생의 어려운 상황에서 자원 및 인력 부족 등에 대처하는 데 주효했다고 설명했다.
0... 첫째, 빠른 병상 확보를 위해 본관 전체 공간을 오염구역으로 지정해 신규 입원 및 영상검사 등을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동선을 확보했다.
이를 통해 대구동산병원에는 초기 3일 동안 200여명의 신환을 입원시킬 수 있었다. 이후 점차적으로 병상을 증설해 중환자실 20병상 포함 465병상을 확보했다. 병원은 코로나19 환자와 의료진을 위한 별도의 경로를 마련했다. 중환자실을 확대해 일반병동에서 증증으로 진행될 경우 신속하게 옮길 수 있도록 했다. 환자와 회복 중인 환자들을 분리하기 위해 별도 건물에 회복 병동을 만들었다.
0... 둘째, 체계화된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해 신종 감염병 대응에 경험이 풍부한 의료진에게 진료 및 운영시스템 관리를 주도적으로 할 수 있도록 권한을 부여했다.
또한 일원화된 진료 및 운영지침을 신속하게 공유해 감염병에 대한 경험이 없는 의료진 및 직원들로 하여금 빠르게 적응할 수 있도록 했다.
이를 위해 모든 자원과 전문지식을 집중해 표준화된 가이드라인을 개발했다. 환자 치료의 오해와 부정적인 결과를 줄이기 위해 감염병, 중환자 치료 등 치료의 일관성에 대한 표준화된 지침을 마련했다.
경증환자(경증질환, 저산소혈증 없는 폐렴)와 중환자(심각한 폐렴, 급성 호흡곤란증후군, 다발성 장애 등)를 구분한 치료 지침도 개발했다. 코로나19 환자의 중증 폐렴 진행 상황을 예측하는 객관화된 지표를 만들어 고위험 환자는 집중 모니터링하고 중환자실과 가까운 병동에 배치했다.
0... 셋째, 정부, 지방자치단체 및 각 단체에서 코로나19 전담병원에 코로나19 환자들을 집중적으로 입원시키고 이에 필요한 자원(개인보호구 등)을 지원할 수 있도록 돕고, 이를 통해 대구지역의 상급종합병원이 일반환자에 대한 진료 기능을 정상적으로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줬다.
코로나19 전담병원 운영 초기에는 동산병원 인력이 모든 코로나19 환자에게 치료를 제공할 수 있었지만, 환자가 늘어나면서 피로한 인력의 해소를 위해서도 더 많은 의료인력이 절실했다.
타지역의 의사들과 간호사들이 신속하게 병원으로 파견됐다. 먼저 공공병원 의사와 간호사, 군의관, 공중보건의, 간호장교가 파견됐다. 그 후 민간 간호사와 자원봉사를 하던 민간 의사들이 코로나19 환자 치료에 참여했다.
의사회, 중환자의학회, 대한간호협회 등도 자원봉사자 모집에 힘을 보탰다. 국가는 대부분의 주거비, 일비, 위험 급여 및 인력 파견과 관련된 기타 비용을 부담했다. 비정부기구인 글로벌케어(Global Care)도 파견을 지원했다.
개인보호장구 착탈의에 대한 반복적인 교육 및 모니터링, 개인보호구의 적절한 공급 및 관리, 근무인력에 대한 사회적 거리 부여 규칙 등이 이러한 긍정적인 결과에 기여했다고 논문에서 설명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