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본부장 정세균 국무총리)는 ‘지속가능한 코로나19 대응전략’을 11월 1일 오후 발표했다.
독감 등 동절기 위험 요인에 선제적인 대비가 필요하고, 효과적인 코로나19 치료제와 백신이 개발되기 전까지 코로나19 대응의 지속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대응전략이 필요하다는 판단에서다.
방역과 의료역량을 지속적으로 확충하고, 이에 기반해 방역과 일상이 공존할 수 있는 여지를 최대한 확보해 나갈 계획이다.
의료대응은 중환자 치료역량 확충 및 병상운영 체계 효율화에 중점을 두고 있다.
0... 중환자 치료자원을 지속적으로 확충한다.
중환자병상은 기존에는 의료기관의 자율신고 병상을 포함해 긴급치료병상, 국가지정격리병상 등 여러 종류가 있었으나, 9월부터 정부 지정제로 전환하고 ‘중환자 전담치료병상’으로 통합관리하고 있다.
코로나19 중환자를 담당할 간호사의 경우 기존의 중환자실 근무경험이 있는 인력 모집과 함께 전담인력(연말까지 423명)을 양성해 지속 대응할 예정이다.
0... 경증과 무증상 환자(약 80%)는 생활치료센터로 우선 배정하는 등 환자 상태에 맞도록 병상운영 체계를 확립한다.
이를 위해 생활치료센터와 감염병전담병원은 권역별로 1개소 이상 국가지정으로 상설 운영한다.
0... 감염병전담병원은 기능을 다양화해 나갈 계획이다.
코로나19 중등도의 환자를 치료하며, 생활치료센터 협력병원으로서 생활치료센터 입소자가 증상이 악화될 경우 즉시 이송해 치료받을 수 있는 의료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장애인, 신장투석 환자 등 특수환자와 정신·요양병원 등에서의 집단 발생 시 고위험 접촉자에 대한 격리를 실시한다. 코로나19 환자뿐 아니라 의료급여 환자 등 의료 소외계층에 대한 치료기능도 최대한 유지할 계획이다.
0... 호흡기와 발열 증상을 보이는 환자를 위해 지역별로 진료가 가능한 기관과 코로나19 검사가 가능한 기관을 확대한다. 동일 기관에서 진료와 코로나19 검사를 함께 수행하도록 유도할 예정이다.
0... 응급환자에 대해서는 7월 23일부터 1시간 내에 검사결과가 나오는 코로나19 유전자 검사 제품을 사용해 신속하게 환자를 선별해오고 있다. 시·도별로 환자분류소와 격리진료구역을 갖춘 중증응급의료센터(57개소)를 운영해중증응급환자를 수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