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강과 웰빙’ ‘양성평등’ 등 17개 목표 수립
국제사회를 이끌어갈 새 개발목표인 ‘지속가능개발목표’(SDGs :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가 2016∼2030년 시행된다.
지속가능개발목표는 지난해 9월 열린 제70차 유엔(UN) 총회에서 193개국 정상들의 동의하에 채택됐다. 밀레니엄개발목표(MDGs, 2000∼2015년)를 잇는 국제사회의 새로운 목표로, 총 17개 목표와 169개 세부목표로 구성됐다.
사회발전과 함께 경제성장의 지속과 환경보존에 관한 목표들을 강화했으며, 현 세대와 미래 세대를 모두 염두에 둔 발전방향을 토대로 기후변화, 식량, 에너지 등 범세계적인 문제를 담고 있다.
모든 국가의 참여와 이행을 요구하고 있는 만큼 우리나라에서도 목표 달성을 위해 국내 이행방안을 마련하고자 활발한 논의를 전개하고 있다.
지속가능개발목표를 구성하고 있는 17개 목표는 다음과 같다.
1. No Poverty(빈곤 종식)=모든 곳에서 모든 형태의 빈곤을 근절한다.
2. Zero Hunger(기아 종식)=기아 해소, 식량안보와 영양상태 개선 달성, 지속가능한 농업의 발전을 증진한다.
3. Good Health and Well-being(건강과 웰빙)=건강한 삶의 보장과 모든 연령대의 인구의 복지를 증진한다.
4. Quality Education(양질의 교육)=양질의 포괄적이고 공평한 교육을 보장하고, 모두를 위한 평생학습 기회를 증진시킨다.
5. Gender Equality(양성평등)=양성평등을 달성하고, 모든 여성과 여아의 역량을 강화한다.
6. Clean Water and Sanitation(깨끗한 물과 위생)=모든 사람에게 물과 위생의 이용가능성과 지속가능한 관리를 보장한다.
7. Affordable and Clean Energy(지속가능한 에너지)=모든 사람에게 적정가격의 신뢰 가능하고 지속가능한 신식 에너지에 대한 접근을 보장한다.
8. Decent Work and Economic Growth(양질의 일자리와 경제성장)=지속적, 포괄적, 지속가능한 경제성장 및 생산적 완전 고용과 양질의 일자리를 증진시킨다.
9. Industry, Innovation and Infrastructure(혁신과 인프라 구축)=복원력이 높은 사회기반시설을 구축하고, 포용적이고 지속가능한 산업화를 증진시키며, 혁신을 장려한다.
10. Reduced Inequalities(불평등 완화)=국가 내 그리고 국가 간의 불평등을 완화한다.
11. Sustainable Cities and Communities(지속가능한 도시 및 거주지)=포괄적이며 안전하고 복원력 있고 지속가능한 도시와 인간거주지를 조성한다.
12. Responsible Consumption and Production(책임 있는 소비와 생산)=지속가능한 소비, 생산 패턴을 보장한다.
13. Climate Action(기후행동)=기후변화와 그로 인한 영향을 방지하기 위해 긴급조치를 취한다.
14. Life Below Water(해양생태계 보호)=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해 해양, 바다, 해양자원을 보존하고, 지속가능한 수준에서 사용한다.
15. Life on Land(육지생태계 보호)=육지생태계를 보호 및 복원하고 지속가능한 수준에서의 사용을 증진시키며, 지속가능한 삼림을 위해 관리하고, 사막화를 방지하며, 토지 황폐화를 중지 및 복원하고, 생물다양성 손실을 중단한다.
16. Peace, Justice and Strong Institutions(평화와 정의 및 제도 구축)=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평화적이고 포괄적인 사회를 증진시키고, 모두가 접근할 수 있는 사법제도를 제공하고, 효과적이고 책임성 있고 포괄적인 제도를 확립한다.
17. Partnerships for The Goals(목표 달성을 위한 파트너십)=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이행수단을 강화하고,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글로벌 파트너십을 활성화 한다.
목표 3. 건강과 웰빙
지속가능개발목표 중 3번째 목표인 ‘건강과 웰빙’의 세부목표는 13개이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2030년까지 전 세계적으로 산모사망률을 출생아 1000명당 70명 이하로 경감시킨다. △5세 이하 영유아의 예방가능 사망률을 종식시키기 위해 출생아 1000명당 신생아 사망률을 12명 이하로, 5세 이하 사망률을 25명 이하로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에이즈, 결핵, 말라리아, 열대성질환의 종식 및 간염, 수계감염 질병, 기타 전염병을 근절한다. △전염병 이외의 원인으로 발생하는 조기사망률을 1/3로 경감시키고, 정신건강과 웰빙을 증진한다.
△마약류 약물 남용과 알코올 섭취를 포함한 약물 남용의 예방과 치료를 강화한다. △2020년까지 전 세계적으로 도로 교통사고 사상자를 50%로 경감시킨다.
△2030년까지 가족계획, 정보와 교육, 국가전략과 프로그램에 출산보건 연계 등을 포함한 성건강 및 출산보건 서비스에 대한 접근의 평등성을 보장한다. △재정적 위험을 보호하고, 양질의 기초보건 서비스를 제공하며, 안전하고 효과적이며 저렴한 기초의약품 및 백신을 공급하는 등 평등한 보건 혜택을 제공한다. △유독화학물질과 공기, 토양, 수질오염 및 환경오염에서 야기되는 질병과 사망을 경감시킨다.
△‘WHO 담배규제기본협약’의 이행을 강화한다. △개도국에 영향을 미치는 전염성 및 비전염성 질병에 대한 의약품과 백신 관련 R&D를 지원하고, 저렴한 기초의약품과 백신을 제공한다. △최빈국과 군소도서개발국(Small Island Developing States)을 대상으로 보건재원, 보건인력의 육성, 훈련, 채용을 확대한다.
△모든 국가, 특히 개도국의 국내 및 국외 건강위험의 조기 경보, 위험 경감과 관리를 위한 역량을 강화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