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고정 팀 너싱' 확산
간호 질·업무 만족도 향상 위해
[편집국] 이월숙 news@nursenews.co.kr 기사입력 2000-10-19 오후 16:01:38
최근 일본에서는 간호전달체계의 한 형태인 '고정팀너싱'이 화제를 모으고 있다. '엑스퍼트 너싱' 최신호에 고정팀너싱의 개념과 적용방법 등에 대한 내용을 자세히 다뤄 눈길을 끌었다.
고정팀너싱은 병원이나 사회복지시설 등에 있는 대규모의 환자들에게 간호를 제공할 때 소그룹으로 팀을 나눠 각 팀에 소속된 간호사가 책임감을 가지고 지속적으로 간호를 제공하는 방식이다.
고정팀너싱의 목적은 환자에게 수준 높은 간호를 제공하고, 간호사의 간호수행능력과 업무만족도를 향상시키는 데 있다.
고정팀너싱을 도입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점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팀원 모두가 공유할 수 있는 목표를 세우고 간호부의 간호철학을 충분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간호업무를 수행하면서 팀내에 문제가 발생했을 때는 정보수집과 자료분석을 통해 문제를 명확히 규명하고 계획을 세운다음 해결해 나가는 체계적인 과정을 밟는다.
팀을 나눌 때는 먼저 환자의 특성을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질환이 같거나 공통적인 간호문제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질병의 중증도나 경과 정도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여러 진료과의 환자가 함께 모여있는 병동에서는 진료과 중심보다는 대상자의 발달단계·증상경과·성별 등에 따라 팀을 나누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24시간동안 연속성을 가지고 양질의 간호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밤번 간호사 수에 맞춰 팀을 결정하는 방법도 생각해 볼 수 있다.
환자그룹이 나눠지면 각 그룹을 담당할 간호사 팀을 구성하고 팀의 리더를 정한다. 팀원들의 역할과 업무에 대한 규정을 문서로 만든다.
고정팀 너싱을 하다보면 팀원들만으로 해결할 수 없는 일도 종종 발생한다. 이때는 다른 팀의 업무에도 관심을 가지며 정보공유를 위해 네트워크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고정팀 너싱이 성공적으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간호사들이 의욕적인 자세로 일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아울러 조직을 이해하고 간호전문성을 통합할 수 있는 관리능력과 리더십을 지닌 간호관자가 필요하다.
조령숙 간호사·일본 통신원
정리=이월숙 기자
고정팀너싱은 병원이나 사회복지시설 등에 있는 대규모의 환자들에게 간호를 제공할 때 소그룹으로 팀을 나눠 각 팀에 소속된 간호사가 책임감을 가지고 지속적으로 간호를 제공하는 방식이다.
고정팀너싱의 목적은 환자에게 수준 높은 간호를 제공하고, 간호사의 간호수행능력과 업무만족도를 향상시키는 데 있다.
고정팀너싱을 도입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점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팀원 모두가 공유할 수 있는 목표를 세우고 간호부의 간호철학을 충분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간호업무를 수행하면서 팀내에 문제가 발생했을 때는 정보수집과 자료분석을 통해 문제를 명확히 규명하고 계획을 세운다음 해결해 나가는 체계적인 과정을 밟는다.
팀을 나눌 때는 먼저 환자의 특성을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질환이 같거나 공통적인 간호문제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질병의 중증도나 경과 정도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여러 진료과의 환자가 함께 모여있는 병동에서는 진료과 중심보다는 대상자의 발달단계·증상경과·성별 등에 따라 팀을 나누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24시간동안 연속성을 가지고 양질의 간호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밤번 간호사 수에 맞춰 팀을 결정하는 방법도 생각해 볼 수 있다.
환자그룹이 나눠지면 각 그룹을 담당할 간호사 팀을 구성하고 팀의 리더를 정한다. 팀원들의 역할과 업무에 대한 규정을 문서로 만든다.
고정팀 너싱을 하다보면 팀원들만으로 해결할 수 없는 일도 종종 발생한다. 이때는 다른 팀의 업무에도 관심을 가지며 정보공유를 위해 네트워크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고정팀 너싱이 성공적으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간호사들이 의욕적인 자세로 일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아울러 조직을 이해하고 간호전문성을 통합할 수 있는 관리능력과 리더십을 지닌 간호관자가 필요하다.
조령숙 간호사·일본 통신원
정리=이월숙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