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육문제 국가에서 책임져야"
여성 사회참여 확대 위해 시급
[편집국] 박미경 mkpark@nursenews.co.kr 기사입력 2002-01-31 오전 09:15:02
여성노동자들이 자녀를 양육하면서 직장에서도 마음놓고 자신의 능력과 자질을 발휘해 나가기 위해서는 보육에 대한 책임을 국가와 사회가 공동으로 부담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한국여성단체연합이 25일 개최한 '일과 가정의 양립을 위한 보육제도 확립방안 마련 연찬회'에서는 보육의 공공성 제고를 주장하는 의견이 여러 전문가들로부터 나왔다.
김종해 가톨릭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2000년 9월말 현재 전체 보육시설 중 국공립시설은 6.7%에 불과하고 민간시설이 92.2%나 차지하고 있다"고 설명하고 "과도한 민간의존은 보육서비스의 질적 수준에 대한 통제가 어려워 서비스 질을 향상시키는데 장애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또 "보육서비스, 육아휴직 등 출산과 육아를 위한 사회서비스가 국가차원에서 제공돼야 여성의 사회진출이 활발해질 수 있다"면서 "정부의 보육재정을 늘려 국가가 운영 또는 지원하는 시설을 확충하고 보육료 지원대상을 확대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김영남 여성중앙회 사무총장은 "현재 어린이집들은 재정 적자에 시달리고 있으며 국공립시설과 민간시설의 수준 차이가 심하고 보육교사의 질 또한 저하되고 있다"고 지적하고 "국공립시설을 늘리면서 기존의 민간시설에 대한 지원이 다양한 방법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밝혔다.
이밖에도 조복희 경희대 생활과학대학장은 "국가 지원을 받는 보육시설들 에 대한 평가인증제를 도입해야 한다"고 말했으며, 김성희 건강한보육환경실천을위한시설장모임 공동대표는 "보육사업의 주무부처는 보육업무를 담당하는 별도의 부서를 두고 전문보육인력을 배치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정영숙 한국노총 여성본부장은 "유아교육법을 제정해 다원화돼 있는 유아교육 및 보호시설을 통합·일원화하고 공교육체제를 확립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미경 기자 mkpark@nursenews.co.kr
한국여성단체연합이 25일 개최한 '일과 가정의 양립을 위한 보육제도 확립방안 마련 연찬회'에서는 보육의 공공성 제고를 주장하는 의견이 여러 전문가들로부터 나왔다.
김종해 가톨릭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2000년 9월말 현재 전체 보육시설 중 국공립시설은 6.7%에 불과하고 민간시설이 92.2%나 차지하고 있다"고 설명하고 "과도한 민간의존은 보육서비스의 질적 수준에 대한 통제가 어려워 서비스 질을 향상시키는데 장애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또 "보육서비스, 육아휴직 등 출산과 육아를 위한 사회서비스가 국가차원에서 제공돼야 여성의 사회진출이 활발해질 수 있다"면서 "정부의 보육재정을 늘려 국가가 운영 또는 지원하는 시설을 확충하고 보육료 지원대상을 확대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김영남 여성중앙회 사무총장은 "현재 어린이집들은 재정 적자에 시달리고 있으며 국공립시설과 민간시설의 수준 차이가 심하고 보육교사의 질 또한 저하되고 있다"고 지적하고 "국공립시설을 늘리면서 기존의 민간시설에 대한 지원이 다양한 방법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밝혔다.
이밖에도 조복희 경희대 생활과학대학장은 "국가 지원을 받는 보육시설들 에 대한 평가인증제를 도입해야 한다"고 말했으며, 김성희 건강한보육환경실천을위한시설장모임 공동대표는 "보육사업의 주무부처는 보육업무를 담당하는 별도의 부서를 두고 전문보육인력을 배치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정영숙 한국노총 여성본부장은 "유아교육법을 제정해 다원화돼 있는 유아교육 및 보호시설을 통합·일원화하고 공교육체제를 확립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미경 기자 mkpark@nurse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