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문간호' 17개 기관 최우수 A등급
전재가장기요양기관 평가결과 공표
[편집국] 정규숙기자 kschung@koreanurse.or.kr 기사입력 2013-05-07 오전 11:31:42
재가장기요양기관 평가결과가 공개됐다. 방문간호 분야에서는 170개 기관이 평가를 받았으며, 평가결과 상위 10% 수준인 17곳에 최우수기관(A등급) 마크가 수여됐다.
보건복지부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은 재가장기요양기관 9186곳 전체를 대상으로 2012년 9∼12월 실시한 평가결과를 발표했다. 2010년 첫 평가에서는 신청기관을 대상으로 했으며, 이번에는 전체기관 의무평가로 전환해 모든 기관을 대상으로 평가했다. 정기평가는 2년마다 실시된다.
방문간호, 방문요양, 방문목욕, 주야간보호, 단기보호, 복지용구 등 6개 서비스 분야별로 평가했다. 기관운영, 환경·안전, 권리·책임, 급여제공과정, 급여제공결과 등 5개 대분류 영역에서 총 353개 평가지표를 적용했다. 평가자가 기관, 수급자, 종사자를 방문해 평가했다. 평가결과는 5개 등급(A∼E)으로 구분했다.
방문간호의 경우 총 170개 기관을 대상으로, 평가지표 58개를 사용해 평가했다. 상위 10% 수준인 17곳이 최우수기관(A등급)으로 평가됐다. 최우수기관에는 인센티브가 지급되며, 마크가 수여된다.
방문간호 최우수기관은 다음과 같다. △온누리간호요양센터(강원 춘천시) △횡성장기요양센터(강원 횡성군) △엘림실버센터(경기 성남시 중원구) △용인방문간호요양센터(경기 용인시) △장수노인복지센타(경북 구미시) △효구미노인복지센터(경북 구미시) △안동의료원 재가장기요양센터(경북 안동시) △동국 방문요양센터(경북 포항시 북구) △재단법인C.C.C.아가페의원(광주 동구) △간호사가여는세상 진솔재가요양기관(대전 유성구) △강동희망방문요양센터(서울 강동구) △파티마재가복지센터(서울 노원구) △성동구장기요양노인복지센터(서울 성동구) △메디재가노인센타(서울 송파구) △백정애 노인복지센터(울산 중구) △행복노인복지센터(인천 남동구) △한마음방문간호센터(전남 광양시).
이번 평가결과 방문간호 평균점수는 100점 만점에 79.8점이었으며, 이는 다른 서비스 분야에 비해 높은 점수다. 방문요양 72.4점, 방문목욕 73.8점, 주야간보호 80.4점, 단기보호 76.1점, 복지용구 55.1점으로 나타났다.
복지용구를 제외한 전체 평균점수는 73.8점이며, 2010년 평가결과와 비교하면 7.4점 낮아졌다. 이는 전체기관 의무평가를 실시하면서 소규모기관 및 처음 평가를 받는 기관이 많이 포함됐고, 난이도 있는 지표를 신설하고 보완해 변별력을 강화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
건보공단은 “장기요양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고, 국민의 알권리 보장 및 장기요양기관 선택권을 확대하기 위해 전체기관 의무평가로 전환했다”고 밝혔다.
평가결과는 노인장기요양보험 홈페이지(longtermcare.or.kr)에 공개돼 있어, 상시 확인이 가능하다.
건보공단은 “평가결과 하위 30% 기관에 대해서는 연 2회 이상 현장방문을 통해 미흡사항 보완 여부를 지속적으로 점검할 계획”이라면서 “시군구에도 평가결과를 통보해 개선토록 하는 등 사후관리를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보건복지부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은 재가장기요양기관 9186곳 전체를 대상으로 2012년 9∼12월 실시한 평가결과를 발표했다. 2010년 첫 평가에서는 신청기관을 대상으로 했으며, 이번에는 전체기관 의무평가로 전환해 모든 기관을 대상으로 평가했다. 정기평가는 2년마다 실시된다.
방문간호, 방문요양, 방문목욕, 주야간보호, 단기보호, 복지용구 등 6개 서비스 분야별로 평가했다. 기관운영, 환경·안전, 권리·책임, 급여제공과정, 급여제공결과 등 5개 대분류 영역에서 총 353개 평가지표를 적용했다. 평가자가 기관, 수급자, 종사자를 방문해 평가했다. 평가결과는 5개 등급(A∼E)으로 구분했다.
방문간호의 경우 총 170개 기관을 대상으로, 평가지표 58개를 사용해 평가했다. 상위 10% 수준인 17곳이 최우수기관(A등급)으로 평가됐다. 최우수기관에는 인센티브가 지급되며, 마크가 수여된다.
방문간호 최우수기관은 다음과 같다. △온누리간호요양센터(강원 춘천시) △횡성장기요양센터(강원 횡성군) △엘림실버센터(경기 성남시 중원구) △용인방문간호요양센터(경기 용인시) △장수노인복지센타(경북 구미시) △효구미노인복지센터(경북 구미시) △안동의료원 재가장기요양센터(경북 안동시) △동국 방문요양센터(경북 포항시 북구) △재단법인C.C.C.아가페의원(광주 동구) △간호사가여는세상 진솔재가요양기관(대전 유성구) △강동희망방문요양센터(서울 강동구) △파티마재가복지센터(서울 노원구) △성동구장기요양노인복지센터(서울 성동구) △메디재가노인센타(서울 송파구) △백정애 노인복지센터(울산 중구) △행복노인복지센터(인천 남동구) △한마음방문간호센터(전남 광양시).
이번 평가결과 방문간호 평균점수는 100점 만점에 79.8점이었으며, 이는 다른 서비스 분야에 비해 높은 점수다. 방문요양 72.4점, 방문목욕 73.8점, 주야간보호 80.4점, 단기보호 76.1점, 복지용구 55.1점으로 나타났다.
복지용구를 제외한 전체 평균점수는 73.8점이며, 2010년 평가결과와 비교하면 7.4점 낮아졌다. 이는 전체기관 의무평가를 실시하면서 소규모기관 및 처음 평가를 받는 기관이 많이 포함됐고, 난이도 있는 지표를 신설하고 보완해 변별력을 강화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
건보공단은 “장기요양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고, 국민의 알권리 보장 및 장기요양기관 선택권을 확대하기 위해 전체기관 의무평가로 전환했다”고 밝혔다.
평가결과는 노인장기요양보험 홈페이지(longtermcare.or.kr)에 공개돼 있어, 상시 확인이 가능하다.
건보공단은 “평가결과 하위 30% 기관에 대해서는 연 2회 이상 현장방문을 통해 미흡사항 보완 여부를 지속적으로 점검할 계획”이라면서 “시군구에도 평가결과를 통보해 개선토록 하는 등 사후관리를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