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가족 생애주기별 지원방안 마련
보건소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서비스 등
[편집국] 정규숙기자 kschung@koreanurse.or.kr 기사입력 2008-11-05 오전 10:37:41
◇ 여성결혼이민자 건강교육·상담 전국 시도간호사회에서 적극 나서
다문화가족과 그 자녀들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발맞춰 `다문화가족 생애주기별 맞춤형 지원 강화대책'이 마련됐다.
올해 7월 현재 국내에 거주하는 결혼이민자는 14만4385명(전년대비 13.7% 증가)이며, 여성이 12만7683명(88.4%)으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다문화가족의 자녀는 5만8007명이며, 이중 초중고 재학생이 1만8769명(32.4%)에 이른다.
보건복지가족부는 “결혼이민자와 자녀 등 다문화가족의 사회통합을 지원하기 위해 생애주기별 맞춤형 대책을 마련했다”고 10월 30일 밝히고 “가족 구성원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사업을 체계화·다양화했으며, 자녀 양육 및 보육 정책에 비중을 두었고, 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중심으로 다양한 기관의 연계와 협력체계를 구축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고 설명했다. 다문화가족 생애주기별 7대 정책과제와 21개 세부추진과제, 66개 세부사업내용으로 구성돼 있다.
△결혼준비기=국제결혼중개업자 탈법 방지, 결혼예정자 사전정보제공 프로그램 강화.
△가족형성기=다문화가족지원센터 중심 통·번역요원 파견시스템 구축, 보건복지콜센터에서 다국어 상담서비스 실시, 보건소 통역서비스 확대, 기초생활보장 지원 확대.
△자녀양육기=산모·신생아도우미 서비스 확대, 임산부와 영유아 교육프로그램 전국 보건소로 확대, 부모-자녀 프로그램 보급, 보육시설에서 다문화 프로그램 강화, 보건소 중심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서비스 실시.
△자녀교육기=지역아동센터를 방과 후 다문화 특화시설로 활용, 드림스타트 사업 통해 빈곤 다문화가정 아동 사례관리.
△가족역량강화기=결혼이민자 취업 및 창업 지원, 일자리 연계 협력체계 구축, 다문화정책 모니터링단 운영.
△가족해체시=이혼사유 및 이혼 후 문제 실태파악, 무연고 방치 아동청소년 신속 발견 및 보호.
△전체 단계=다문화가족 등록 및 서비스 관리 시스템 구축, 농촌지역 다문화가족지원센터 확대, 멘토링 서비스 및 자원봉사 활성화, 지자체-민간단체-기업 간 네트워크 구성, 다문화 홍보대사 위촉.
한편 대한간호협회 시도간호사회에서는 여성결혼이민자들이 스스로 건강한 삶을 지켜나갈 수 있도록 돕는 프로그램을 진행해 호응을 얻고 있다.
지자체의 지원을 받아 건강교육(임신과 출산·피임·신생아 응급처치·예방접종 등)과 상담, 산전·산후·육아교실 운영, 임산부가이드 제작 배포 등 다양한 사업을 활발하게 펼치고 있다.(본보 7월 24일자 기획보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