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소 이름.화합물 용어 표기법 개정
[편집국] 성미선 news@nursenews.co.kr 기사입력 2005-04-21 오전 08:55:39
요오드는 `아이오딘', 게르마늄은 `저마늄', 비타민은 `바이타민'으로 표기법이 바뀌었다.
그동안 독일어식이나 일본어식으로 사용해온 화학용어가 국제기준에 맞는 표기법으로 개선됐다.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은 원소이름 109종과 화합물 용어 325종에 대한 새 표기법을 KS규격으로 제정, 시행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새 표기법은 국제기준의 명명법 원칙을 최대한 존중했으며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발음에 가까우면서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정해졌다. 대한화학회에서 국제순수 및 응용화학 연합(IUPAC)이 정한 `화합물 명명법'을 토대로 각 분야 전문가들의 의견을 종합해 마련했다.
첫째, 원소이름의 경우 요오드(iodine)는 `아이오딘', 크롬(chromium)은 `크로뮴', 게르마늄(germanium)은 `저마늄', 나트륨(sodium)은 `소듐', 칼륨(potassium)은 `포타슘'으로 바뀌었다. 단 갑작스런 표기 변경에 따른 혼란을 피하기 위해 나트륨과 소듐, 칼륨과 포타슘은 병행해 사용토록 했다.
둘째, 화합물 용어는 몇 가지 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이 새 표기로 개정됐다. ◆ 탄화수소에서 ~ane은 `~에인' ~ene은 `~엔', ~yne은 `~아인'으로 표기. 프로판(propane)은 `프로페인', 메탄(methane)는 `메테인'. ◆ cy~는 `사이~', hy~는 `하이~', ty~는 `타이~', vi~는 `바이~', xy~는 `자이~'로 표기. 크실렌(xylene)은 `자일렌'으로, 비닐(vinyl)은 `바이닐', 비타민(vitamin)은 `바이타민'. 단 비닐과 바이닐, 비타민과 바이타민은 병행해 쓰도록 했다. ◆ bi~는 `바이~', di~는 `다이~', tri~는 `트라이~', iso~는 `아이소~'로 표기함에 따라 `디옥신(dioxin)'은 `다이옥신'으로 변경. ◆ thio~는 `싸이오~', thy~는 `티~', ortho~는 `오쏘~'로 표기. 티오황산(thiosulfate)은 `싸이오황산'. ◆ `g' 다음에 모음이 올 때는 `ᄌ'으로 표기. 할로겐(halogen)은 `할로젠'. ◆ 구성원소 이름이 드러나도록 했다. 중크롬산칼륨(K₂Cr₂O<&23790>)은 `다이크로뮴산 칼륨', 플로오르화붕소(BF₃)는 `플루오린화 붕소'로 표기. ◆ 화합물에 포함된 원자 또는 원자단 수는 `모노~', `다이~', `트라이~', `테트라~'로 표기했다. 디에틸 에테르(diethyl ether)는 `다이에틸 에테르'. 이산화 탄소(carbon dioxide)처럼 원자 또는 원자단 이름이 우리말인 경우에는 `일~', `이~', `삼~'으로 표기. ◆ 여러 가지 산화 상태가 가능한 원소로 구성된 화합물의 경우에는 원소의 수를 나타내는 접두사를 사용하거나 원소의 산화상태를 나타내는 로마 숫자를 괄호 안에 넣어 표시. 산화제일철(FeO)은 `일산화 철' 또는 `산화 철(Ⅱ)', 산화제이철(Fe₂O₃)은 `삼산화 이철' 또는 `산화 철(Ⅲ)'. ◆다가 산의 수소 이온 일부가 금속 양이온으로 치환된 경우에는 음이온의 이름에 `수소'를 붙여서 표기. 제이인산칼륨(KH₂PO₄)은 `인산이수소 칼륨'.
셋째, 그동안 정확한 표기법 없이 사용해온 화합물 명칭에 대해서는 통일된 표기 원칙을 정했다. ◆ 모체 화합물 이름에 붙이는 접미사는 독립적으로 표기. ethanol은 `에탄올'. `~오', `~이오', `~윰'은 앞의 자음과 연음시킨다. butano는 `뷰타노'. ◆ 유기산에서 ~ic acid 또는 ~oic acid는 `산'으로 표기. acetic acid는 `아세트산'. ◆ ~ide는 `~아이드', imide는 `이미드', amido는 `아미도', imido는 `이미도'로 표기. hydride는 `하이드라이드'. ◆ u는 일반적으로 `우'로 표기했다. `toluene은 `톨루엔. 하지만 경우에 따라 `어' 또는 `유'로 표기. sulfane은 `설페인', urea는 `유레아'. ◆ 모음과 자음 사이의 `r'은 표기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필요한 경우 `~르'로 표기. carboxylic acid는 `카복실산', morphin은 `모르핀'. 단 처음에 `ar~'로 시작되는 경우는 `아르~'로 표기한다. argon은 `아르곤'.
새 표기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 홈페이지(www.ats.go.kr) 공지사항에서 다운받을 수 있다. 산자부는 새 화학용어집을 발간해 배포할 예정이다.
성미선 인턴기자
그동안 독일어식이나 일본어식으로 사용해온 화학용어가 국제기준에 맞는 표기법으로 개선됐다.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은 원소이름 109종과 화합물 용어 325종에 대한 새 표기법을 KS규격으로 제정, 시행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새 표기법은 국제기준의 명명법 원칙을 최대한 존중했으며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발음에 가까우면서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정해졌다. 대한화학회에서 국제순수 및 응용화학 연합(IUPAC)이 정한 `화합물 명명법'을 토대로 각 분야 전문가들의 의견을 종합해 마련했다.
첫째, 원소이름의 경우 요오드(iodine)는 `아이오딘', 크롬(chromium)은 `크로뮴', 게르마늄(germanium)은 `저마늄', 나트륨(sodium)은 `소듐', 칼륨(potassium)은 `포타슘'으로 바뀌었다. 단 갑작스런 표기 변경에 따른 혼란을 피하기 위해 나트륨과 소듐, 칼륨과 포타슘은 병행해 사용토록 했다.
둘째, 화합물 용어는 몇 가지 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이 새 표기로 개정됐다. ◆ 탄화수소에서 ~ane은 `~에인' ~ene은 `~엔', ~yne은 `~아인'으로 표기. 프로판(propane)은 `프로페인', 메탄(methane)는 `메테인'. ◆ cy~는 `사이~', hy~는 `하이~', ty~는 `타이~', vi~는 `바이~', xy~는 `자이~'로 표기. 크실렌(xylene)은 `자일렌'으로, 비닐(vinyl)은 `바이닐', 비타민(vitamin)은 `바이타민'. 단 비닐과 바이닐, 비타민과 바이타민은 병행해 쓰도록 했다. ◆ bi~는 `바이~', di~는 `다이~', tri~는 `트라이~', iso~는 `아이소~'로 표기함에 따라 `디옥신(dioxin)'은 `다이옥신'으로 변경. ◆ thio~는 `싸이오~', thy~는 `티~', ortho~는 `오쏘~'로 표기. 티오황산(thiosulfate)은 `싸이오황산'. ◆ `g' 다음에 모음이 올 때는 `ᄌ'으로 표기. 할로겐(halogen)은 `할로젠'. ◆ 구성원소 이름이 드러나도록 했다. 중크롬산칼륨(K₂Cr₂O<&23790>)은 `다이크로뮴산 칼륨', 플로오르화붕소(BF₃)는 `플루오린화 붕소'로 표기. ◆ 화합물에 포함된 원자 또는 원자단 수는 `모노~', `다이~', `트라이~', `테트라~'로 표기했다. 디에틸 에테르(diethyl ether)는 `다이에틸 에테르'. 이산화 탄소(carbon dioxide)처럼 원자 또는 원자단 이름이 우리말인 경우에는 `일~', `이~', `삼~'으로 표기. ◆ 여러 가지 산화 상태가 가능한 원소로 구성된 화합물의 경우에는 원소의 수를 나타내는 접두사를 사용하거나 원소의 산화상태를 나타내는 로마 숫자를 괄호 안에 넣어 표시. 산화제일철(FeO)은 `일산화 철' 또는 `산화 철(Ⅱ)', 산화제이철(Fe₂O₃)은 `삼산화 이철' 또는 `산화 철(Ⅲ)'. ◆다가 산의 수소 이온 일부가 금속 양이온으로 치환된 경우에는 음이온의 이름에 `수소'를 붙여서 표기. 제이인산칼륨(KH₂PO₄)은 `인산이수소 칼륨'.
셋째, 그동안 정확한 표기법 없이 사용해온 화합물 명칭에 대해서는 통일된 표기 원칙을 정했다. ◆ 모체 화합물 이름에 붙이는 접미사는 독립적으로 표기. ethanol은 `에탄올'. `~오', `~이오', `~윰'은 앞의 자음과 연음시킨다. butano는 `뷰타노'. ◆ 유기산에서 ~ic acid 또는 ~oic acid는 `산'으로 표기. acetic acid는 `아세트산'. ◆ ~ide는 `~아이드', imide는 `이미드', amido는 `아미도', imido는 `이미도'로 표기. hydride는 `하이드라이드'. ◆ u는 일반적으로 `우'로 표기했다. `toluene은 `톨루엔. 하지만 경우에 따라 `어' 또는 `유'로 표기. sulfane은 `설페인', urea는 `유레아'. ◆ 모음과 자음 사이의 `r'은 표기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필요한 경우 `~르'로 표기. carboxylic acid는 `카복실산', morphin은 `모르핀'. 단 처음에 `ar~'로 시작되는 경우는 `아르~'로 표기한다. argon은 `아르곤'.
새 표기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 홈페이지(www.ats.go.kr) 공지사항에서 다운받을 수 있다. 산자부는 새 화학용어집을 발간해 배포할 예정이다.
성미선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