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하단 바로가기
Home / 이슈/기획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 인쇄
[2021 국감] 서영석 의원, 재가방문간호 활성화 방안 필요
[편집국] 정규숙 편집국장   kschung@koreanurse.or.kr     기사입력 2021-10-20 오후 04:24:45

재가방문간호 서비스 이용이 다른 서비스와 비교해 매우 저조한 것으로 나타나 활성화 방안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재가방문간호는 노인장기요양보험법에 의한 재가급여의 하나이며,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 중 유일한 의료서비스이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서영석 의원(더불어민주당, 경기 부천시정, 사진)은 국정감사 보도자료를 통해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이 자료에 따르면 2020년 방문간호 대상자 수는 83만8821명이며, 이용자 수는 1만8112명으로 대상자의 2.2%에 불과했다. 이는 2018년 2.5%에서 0.3%p 하락한 수치이다. 올해 1∼6월 상반기는 1.9%로 지난해보다 0.3%p 더 낮았다.

2020년 재가장기요양 급여비 지급 건수는 총 842만8816건이며, 이중 방문간호는 11만6910건으로 1.4%였다. 방문요양이 50%로 가장 많았고, 주야간보호 13.7%, 방문목욕 8.3% 순이었다.

또한 지급액 기준으로 보면 2020년 총 5조2297억1400만원의 지급액 중에서 방문간호는 261억2800만원으로 0.5%에 불과했다.

방문간호 이용자의 다빈도 질병 순위를 보면 2017년부터 올해 8월까지 매년 치매가 1위를 차지했다. 이어 고혈압, 관절염, 요통 및 좌골통 순이었다. 5위는 중풍(2017∼2018)에서 당뇨병(2019∼2021.8)으로 바뀌었다.

올해 8월 기준 대상자 10명 중 7명이 3개 이상의 질병이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5개 이상 질병을 가진 대상자도 전체의 17.7%였다.

서영석 의원은 “적절한 대상에게 제공되는 적절한 간호서비스는 불필요한 입원이나 시설 입소를 줄이고, 사회적 비용 감소에 기여할 수 있다”며 “노인인구가 급속도로 증가하고 2025년 초고령사회 진입이 예상되는 상황에서 노인이 지역사회에서 여생을 마감하고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삶을 유지할 수 있도록 재가방문간호 서비스의 효과를 높이고 이용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서영석 의원은 “방문간호 서비스는 2020년 조사에서 90%가 넘는 만족도를 기록했을 정도로 호응이 좋은 재가급여”라고 지적하며 “제도 시행 이후 10년이 지난 시점에서 급변하는 인구구조에 걸맞은 수가체계의 개선과 방문간호 접근성 제고를 위한 중장기적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 이화여대 임상바이오헬스대학원
  • 가톨릭대 교원 모집
  • 지스쿨
  • 스마트널스
간호사신문
대한간호협회 서울시 중구 동호로 314 우)04615TEL : (02)2260-2571
등록번호 : 서울아00844등록일자 : 2009년 4월 22일발행일자 : 2000년 10월 4일발행·편집인 : 신경림  청소년보호책임자 : 신경림
Copyright(c) 2016 All rights reserved. contact news@koreanursing.or.kr for more infor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