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정 질환이나 진료과목에 전문화된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101개 의료기관이 ‘제4기(2021~2023년) 1차년도 전문병원’으로 12월 30일 지정됐다.
보건복지부는 대형병원 환자쏠림을 완화하고,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2011년부터 전문화된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중소병원을 전문병원으로 지정하고 있다. 전문병원 활성화를 위해 제4기부터는 전문병원 모집주기를 3년에서 1년으로 단축해 매년 신청을 받아 지정할 계획이다.
이번에 지정된 101개 전문병원을 전문분야별로 보면 △관절 20개 △뇌혈관 4개 △대장항문 5개 △수지접합 4개 △심장 1개 △알코올 9개 △유방 1개 △척추 16개 △화상 5개 △주산기 1개 △한방중풍 1개 △한방척추 8개 △산부인과 10개 △소아청소년과 2개 △안과 10개 △외과 2개 △이비인후과 2개이다.
전문분야는 총 19개이다. 신경과, 한방부인과는 지정기관이 없다. 이번 제4기부터 재활의학과는 폐지됐다.
*전문병원 명단은 하단 첨부파일 클릭!
0... 보건복지부는 제4기 1차년도 전문병원 지정을 위해 108개 의료기관으로부터 신청을 받았다.
지정기준은 환자구성비율, 진료량, 병상수, 필수진료과목, 의료인력, 의료질 평가, 의료기관 인증 등 7개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서류심사 및 현지조사, 전문병원심의위원회 심의를 거쳐 101개 병원을 최종 선정했다.
0... 101개 의료기관은 2021년 1월부터 3년간 보건복지부 지정 전문병원 명칭을 사용할 수 있다. ‘전문병원’ ‘전문’ 용어를 사용해 광고를 할 수 있다.
전문병원 지정을 위한 비용투자 및 운영성과, 의료질평가 결과 등을 고려해 건강보험 수가를 지원받게 된다.
보건복지부는 전문병원 지정기준 유지여부를 정기적으로 점검하며, 지정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 전문병원에 지급되는 건강보험 수가 산정을 중단한다.
보건복지부 이창준 보건의료정책관은 “전문병원 제도를 통해 주민들이 전문적인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지역사회에서 쉽게 이용하고 충분히 제공받을 수 있도록 각종 진입장벽, 진료영역, 지원체계 등 제도 전반을 지속적으로 점검해 문제점을 개선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