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장기요양보험 혜택을 받은 노인은 77만명이었다. 노인인구 800만명 대비 장기요양보험 인정률은 9.6%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김용익)은 ‘2019 노인장기요양보험 통계연보’를 발간하며 장기요양보험 주요 실적을 발표했다.
△신청·인정 = 2019년 12월 말 기준 의료보장 인구 중 65세 이상 노인은 800만3418명으로 전년 대비 5.1% 증가했다. 이중 장기요양보험 신청자는 10.3% 증가한 111만3093명, 인정자는 15.1% 증가한 77만2206명으로 나타났다.
노인인구보다 신청자 및 인정자 증가율이 더 높아 노인인구 대비 인정률은 5년 전 7.0%에서 2019년 9.6%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인정등급별 인원 = 2019년 12월 말 기준 노인장기요양보험 인정자는 77만2206명이다. 각 인정등급별로 보면 1등급 4만4504명, 2등급 8만6678명, 3등급 22만6182명, 4등급 32만5901명, 5등급 7만3294명, 인지지원등급은 1만5647명이었다.
4등급 인정자가 전체의 42.2%로 가장 많았다. 이어 3등급(29.3%), 2등급(11.2%), 5등급(9.5%), 1등급(5.8%), 인지지원등급(2.0%) 순으로 나타났다.
△급여실적 = 2019년 장기요양보험 총 연간 급여비(본인일부부담금+공단부담금)는 8조5653억원으로 전년 대비 21.2% 증가했다. 이중 공단부담금은 7조7363억원으로 공단부담률은 90.3%이었다.
연간 급여이용 수급자는 73만2181명으로 전년 대비 12.9% 증가했다. 급여이용 수급자 1인당 월평균 급여비는 128만4256원으로 전년 대비 6.2%, 1인당 월평균 공단부담금은 115만9922원으로 전년 대비 7.7% 증가했다.
△유형별 공단부담금 = 2019년 공단부담금 7조7363억원 중 재가급여는 4조3702억원으로 56.5%, 시설급여는 3조3661억원으로 43.5%를 차지했다. 재가급여 중 방문요양이 68.8%, 주야간보호가 23.9%를 차지했고, 방문간호는 0.5%(221억)이었다.
전년 대비 공단부담금 증가율은 재가급여는 27.2%, 시설급여는 17.5%이었다. 세부 유형별로는 주야간보호가 41.9%, 복지용구가 28.7%, 방문간호가 24.9% 증가했다.
△장기요양기관 인력 = 2019년 말 기준 장기요양기관 인력은 49만2132명이었다. 요양보호사가 90.3%를 차지했고, 간호사는 3312명(0.7%)이었다. 장기요양기관 인력은 전년 대비 약 16.8% 증가했다. 요양보호사가 17.0%, 사회복지사가 18.3%, 간호사는 10.4% 증가했다.
△장기요양기관 = 2019년 말 기준 장기요양기관은 2만4953개를 운영 중에 있다. 재가기관은 1만9410개(77.8%), 시설기관은 5543개(22.2%)로 나타났다. 전년 대비 재가기관은 21.5%, 시설기관은 4.2% 증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