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를 방문한 외국인환자가 2014년 26만7000명에서 2015년 29만7000명으로 11% 증가했으며, 누적 외국인환자 수가 120만명에 이르렀다고 보건복지부가 밝혔다.
진료수입은 총 6694억으로 전년대비 20.2% 증가해 2009년 이래 총 2조원을 누적 달성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환자의 출신지역 다변화, 고액 환자 증가 등 외국인환자 유치 시장의 질적 성장이 이뤄졌다.
△중국인환자 가장 많아 = 외국인환자의 출신 국적별로는 중국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미국, 러시아, 일본, 카자흐스탄 순이었다. 2012년 이후 계속 1위를 유지해온 중국은 2015년 환자수가 전년 대비 24.6% 증가한 10만명에 달해 여전히 가장 환자가 많은 국가로 꼽혔다.
카자흐스탄이 2014년 8000명에서 2015년 1만2000명으로 전년 대비 56.5% 증가했고, 베트남이 3700명에서 5300명으로 42.6% 증가했다.
중동, 중앙아시아 등 한국의료 세계화를 위해 정부 간 협력(G2G)을 강화하고 있는 전략국가의 환자 수도 꾸준히 증가했다.
2015년 아랍에미리트(UAE) 환자가 2900명으로 전년 2600명 대비 11.9% 증가했다. 우즈베키스탄 환자가 2600명으로 전년 1900명 대비 38.3% 증가해 처음으로 10위권에 진입했다.
△1인당 평균진료비 225만원 = 진료비의 경우 2015년 총 6694억원으로 전년 5569억원 대비 20.2% 증가했으며, 2009년부터 누적 2조2000억원의 진료수입을 창출했다.
1인당 평균진료비는 225만원으로 전년 209만원 대비 7.9% 증가했다. 1억원 이상 고액환자도 271명으로 전년 210명 대비 29.0% 증가하는 등 국내 의료관광 시장 구조가 고부가 가치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료과목 1위 내과 = 진료과목별로는 내과가 약 8만명으로 전체 진료과목 중 21.3%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성형외과가 4만명(11.1%), 건강검진이 3만명(9.3%)이었다.
국적별로 살펴보면 중국인 환자의 24%가 성형외과를 이용했다. 러시아 환자의 28%, 미국 환자의 23%, UAE 환자의 23%가 내과를 찾았다. 일본 환자의 28%가 피부과를 찾은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인환자를 가장 많이 유치한 지역은 서울로 55.8%(17만명)이었다.
이어 경기도 19.1%(6만명), 인천 5.4%(2만명) 순으로 나타났다. 전남(59%), 전북(52%), 광주(48%) 등은 전년 대비 증가율이 높게 나타났다.
복지부는 외국인환자 유치 활성화를 지원하기 위해 외국인환자 종합지원 창구인 `메디컬코리아 지원센터' 운영, 미용성형 부가가치세 환급 등을 시행하고 있다. 통역·음식·관광 등 비의료서비스를 양성화해 개선대책을 추진 중이다.
또한 6월 23일부터 시행된 `의료 해외진출 및 외국인환자 유치 지원에 관한 법률'을 통해 유치의료기관 평가·지정, 불법 브로커 단속 및 신고포상제, 진료비·수수료 조사, 유치의료기관의 의료사고배상책임보험 가입 등을 의무화해 시장 건전성을 확보하고 외국인환자의 권익과 안전보호를 강화할 계획이다.
이동욱 복지부 보건산업정책국장은 “외국인환자 유치 사업은 산업적인 측면에서 부가가치가 높은 미래 핵심 먹거리 사업”이라면서 “2020년에는 한 해 100만명 유치 목표를 달성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