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헬기 출동체계 일원화 방안 마련
응급상황에 적합한 헬기 출동 … 응급환자 효율적으로 이송
[편집국] 강수현기자 shkang@koreanurse.or.kr 기사입력 2014-02-04 오후 17:03:48
응급환자를 효율적으로 이송 및 구조하기 위해 각 부처별로 운용 중인 응급헬기를 공동활용하는 방안이 마련됐다.
보건복지부, 국방부, 소방방재청, 해양경찰청, 산림청 등 5개 부처는 각 부처별로 운용 중인 응급헬기 출동체계를 일원화해 신속한 응급환자 이송이 이뤄질 수 있도록 '범부처 헬기 공동활용 방안'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현재 응급환자 이송이 가능한 헬기는 총 83대가 있다. 응급헬기는 기관별로 별개의 번호로 신고 접수를 받아 개별 출동하는 방식으로 운용되고 있으며, 응급상황에 맞는 정확한 출동요청을 하는데 어려운 점이 있었다.
시간이 생명인 중증응급환자의 경우 빠른 출동이 가능하고 의료진이 직접 탑승하는 닥터헬기가 적합하지만, 출동상황이 공유되지 않아 타 기관 헬기가 우선 출동하는 등 문제점이 발생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범부처 헬기 공동활용 구축을 위한 대책을 논의한 결과, 이번 계획안이 마련됐다.
계획에 따르면 각 부처 간 응급헬기 출동 시 119에 알리도록 해 119구급상황관리센터에서 전체 헬기 출동 상황을 모니터링함으로써 중복 출동을 방지할 계획이다.
특히 중증응급환자는 가능한 닥터헬기가 우선 출동하고, 장거리나 다수 환자를 이송 시에는 소방헬기가 출동하는 등 부처 간 응급헬기 출동기준을 재정립한다는 방침이다.
이번 방안은 관련 규정 개정 등을 거쳐 오는 3월 15일부터 시행에 들어갈 예정이다.
보건복지부, 국방부, 소방방재청, 해양경찰청, 산림청 등 5개 부처는 각 부처별로 운용 중인 응급헬기 출동체계를 일원화해 신속한 응급환자 이송이 이뤄질 수 있도록 '범부처 헬기 공동활용 방안'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현재 응급환자 이송이 가능한 헬기는 총 83대가 있다. 응급헬기는 기관별로 별개의 번호로 신고 접수를 받아 개별 출동하는 방식으로 운용되고 있으며, 응급상황에 맞는 정확한 출동요청을 하는데 어려운 점이 있었다.
시간이 생명인 중증응급환자의 경우 빠른 출동이 가능하고 의료진이 직접 탑승하는 닥터헬기가 적합하지만, 출동상황이 공유되지 않아 타 기관 헬기가 우선 출동하는 등 문제점이 발생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범부처 헬기 공동활용 구축을 위한 대책을 논의한 결과, 이번 계획안이 마련됐다.
계획에 따르면 각 부처 간 응급헬기 출동 시 119에 알리도록 해 119구급상황관리센터에서 전체 헬기 출동 상황을 모니터링함으로써 중복 출동을 방지할 계획이다.
특히 중증응급환자는 가능한 닥터헬기가 우선 출동하고, 장거리나 다수 환자를 이송 시에는 소방헬기가 출동하는 등 부처 간 응급헬기 출동기준을 재정립한다는 방침이다.
이번 방안은 관련 규정 개정 등을 거쳐 오는 3월 15일부터 시행에 들어갈 예정이다.